얼마전 들었던, 이경례 교수님의 강의 후, 궁금한 것이 생겼습니다.
아이들은, 그 나이 때에 해야할 행동 단계가 있는데,
그게 무엇일까?
한 번 정리해봤습니다.
0-1세:
- 기본적인 생존 기능인 숨쉬기, 먹기, 잠자기 등을 습득합니다.
- 신체적으로 발달하며, 머리와 몸통을 들어올리고 앉아서, 기어다니고, 서는 등의 움직임을 익힙니다.
- 눈과 귀를 사용하여 주변을 탐색하며, 단어나 소리를 구별합니다.
1-2세:
- 말을 하기 시작하며, 언어적인 발달이 급속도로 이루어집니다.
- 감정을 표현하고 인식하기 시작하며,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배웁니다.
- 물건을 들고 다니며, 놀이를 하거나 산책을 즐깁니다.
2-3세:
- 자신의 이름과 나이를 말할 수 있고, 좀 더 복잡한 문장을 구사합니다.
- 감정을 좀 더 세밀하게 인식하고 표현하며, 상황에 따른 적절한 반응을 배웁니다.
- 지식과 호기심이 많아지고, 새로운 물건과 환경에 대해 궁금해합니다.
3-4세:
- 언어의 이해와 표현이 더욱 정교해지며, 대화를 이끌어내는 기술을 익힙니다.
- 상상력과 창의성이 발달하며, 다양한 놀이와 시도를 통해 자신의 능력을 발견하고 표현합니다.
- 기본적인 숫자, 색상, 모양, 크기 등을 인식하고 구별합니다.
4-5세:
- 대화가 더욱 복잡해지며, 다른 사람들과의 대화에서 나아가 이야기를 만들고 전개합니다.
- 다양한 놀이와 활동을 통해 신체적, 정서적, 인지적으로 발전합니다.
- 감각적, 지각적, 인지적인 요소들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익힙니다.
5-6세:
- 적극적으로 사고하며,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도 존중합니다.
- 숫자와 문자를 인식하고, 간단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- 자신의 관심 분야와 성향을 더욱 구체적으로 발견하고, 더 깊이 파고들기 시작합니다.
- 대규모 그룹 활동에서의 협력과 대인관계에 대한 이해가 더욱 높아집니다.
6-7세:
-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전개하고, 추론하고,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
- 독서 능력이 발달하며, 다양한 책과 글을 읽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.
- 더 복잡한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고 계산할 수 있습니다.
7-8세:
- 감성적, 상상력적인 면과 논리적, 분석적인 면이 조화롭게 발달합니다.
- 사회적인 관심과 책임감이 생기며, 친구와의 관계에서 협력, 대화, 존중의 중요성을 배웁니다.
- 적극적으로 창작활동을 하며, 다양한 예술적인 표현방식에 익숙해집니다.
8-9세:
- 추상적이고 복잡한 사고와 추론능력이 발달합니다.
- 지식을 구조화하고 새로운 정보를 이해하기 위한 전략을 습득하며, 학습능력이 향상됩니다.
- 관심과 지식이 더욱 깊어지고,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더욱 자신 있게 표현합니다.
9-10세:
- 비판적인 사고와 논리적인 추론 능력이 발달하며,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.
- 창의성과 상상력이 발전하며,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발견하고 발휘합니다.
- 타인과의 대화와 협력에 있어서 높은 수준의 소통능력을 갖추게 됩니다.
교수님 강의에서 들었던 이야기 중에 기억에 남는 이야기가 있습니다.
"돌때 된 아이가 발달이 느린지 빠른지는, 돌잡이 사진사 아저씨가 제일 잘 안다. 그 아저씨는 매일 돌 때 아기를 보기 때문에, 가장 많은 케이스가 축적되어 있다."
아이들의 발달 과정은 약간씩 차이가 있습니다. 누구는 빠르고, 누구는 느리며, 누구는 어느 시기에 어떤 발달이 급격하게 빨라지고, 어느 누구는 빨리 발달 된 뒤에는 성장이 느리기도 합니다.
연령별 발달 단계는 아이 성장의 마일스톤 같은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. 아이를 잘 키우기 위한, 중간 점검 단계 같은 것 말입니다.
궁금했던 연령별 발달 단계.
궁금증이 해결되셨으면 합니다.^^
'육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밤만 되면 기침하며 잠을 못자는 아 (0) | 2023.04.17 |
---|---|
학생정서 행동특성검사를 했습니다. (0) | 2023.04.06 |
[부천남부 수자원 생태공원] 하루 놀기 딱 좋은 아이들 놀이터! (0) | 2023.04.03 |
부모특강 - 사랑과 훈육 (0) | 2023.03.23 |
아빠의 육아휴직 도전 - 육아휴직. 아직 아빠에겐 어렵다. (0) | 2023.03.21 |